티스토리 뷰

말모이 뜻 실화 주시경 말모이설민석강의 윤계상 유해진


 영화 말모이 


 뜻 실화 주시경 

말모이설민석강의 윤계상 유해진


 우리말이 금지된 1940년대, 

말을 지켜 나라를 지키고자 했던 사람들! 

영화 말모이

말모이 개봉일

2019 .01. 09

말모이 상영시간

135분 (2시간 15분)

말모이 감독

: 택시운전사(각본,연출)

영화 말모이 줄거리

영화 말모이 줄거리영화 말모이 줄거리

1940년대 우리말이 점점 사라져가고 있는 경성. 

영화 말모이 줄거리

 극장에서 해고된 후 아들 학비 

때문에 가방을 훔치다 실패한 유해진(판수 역). 

영화 말모이 줄거리

그런데 하필 그 가방 주인은 면접 보러 

조선어학회 대표, 윤계상(정환 역)이다. 

영화 말모이 줄거리

소매치기 라는 어이없는 첫 만남이었다.

우리말을 사랑하고 일제 비밀리에 사전을 만드는데

 전과자에다가 글도 못 읽는 사람은 받아들일 수

 없는 조선어학회 대표 정환(윤계상)

남매 데리고 먹고살려면 자존심 따위 

잊어버리고 취직을 해야 하는 판수. 

영화 말모이 줄거리

 그러나 판수를 반기는 멤버들에 밀려 정환은 

한글 읽고 쓰기를 떼는 조건으로 그를 받아들인다. 

말모이 줄거리

 돈도 아닌 말을 대체 왜 모으나 싶었던 판수는

 난생처음 글을 읽으며 우리말의 소중함에 눈뜨고, 

말모이 줄거리

 정환 또한 전국의 말을 모으는 ‘말모이’에

 힘을 보태는 판수를 통해 ‘우리’의 소중함에 눈뜬다. 

말모이 줄거리

 얼마 남지 않은 시간, 바짝 다가오는 

일제의 감시를 피해 ‘말모이’를 끝내야 하는데… 

  말모이 줄거리

 우리말이 금지된 시대, 

말과 마음이 모여 사전이 되다.

영화 말모이 출연배우(등장인물)

말모이  윤계상 말모이  윤계상

말모이  윤계상 

독립운동을 하는 지식인인 조선어학회 대표 류정환

 유해진(김판수 역)를 통해 지식인이 선도하는 것이 아닌

 모두가 함께 하는 ‘말모이’의 참뜻을 깨닫는 인물.

쉐어하우스 카페

말모이  유해진 말모이  유해진

말모이  유해진 

전과자 출신의  글을 읽지 못하는 까막눈


돈 되지 않는 글을 뭐하러 이렇게 열심히 파나

했지만 글을 배운 후 감옥에서,

 길에서 험한 인생 살아오다 

만난 보통 사람들을 데려와

 ‘말모이’에 힘을 보태는 윤계상의 ‘동지’가 된다.

말모이 아역  조현도

말모이 아역  조현도 

유해진 아들

말모이 아역  박예나

말모이 아역  박예나 

유해진 딸

말모이  김선영

말모이  김선영 

학회의 비밀 서고와 사무실이 있는 ‘문당책방’의

 운영을 책임진 강단 있는 회원 구자영


※ 김선영 대표작품: tvn [응답하라 1988]

영화 말모이  김태훈

영화 말모이  김태훈 

 학회 기관지인 ‘한글’기자

날카로운 눈빛만큼이나 꼿꼿한 원칙을 가진 박훈 

말모이  김홍파

말모이  김홍파 

자기보다 젊고 배움도 없는 까막눈 판수(유해진)와 

너나 할 정도로 열린 마음의 소유자인

 조선어학회의 큰 어른 조갑윤 선생

1940년대 글로 일제에 저항했던 지식인.

 영화 말모이  민진웅

 영화 말모이  민진웅 

말모이 회원 중 가장 젊은 회원으로

 아내 사랑이 극진한 사랑꾼 막내 민우철 역

말모이  우현

말모이  우현 

술을 사랑하고 사람은

 더 사랑하는 시인 임동익 

영화 말모이  배우 송영창

 말모이  배우 송영창 

항일에서 친일로 변절한 정환(윤계상)의 아버지 류완택 

자신에게 독립의 의미를 깨우쳐준

아버지의 태도변화로인해

윤계상에게 시련과 갈등을 주는 인물.

말모이  허성태

영화 말모이  허성태 

 국민총력연맹 책임자로 ‘말모이’ 

탄압에 앞장서는 일본 경찰 우에다


극중 악의 중심인물

영화 말모이 실화 주시경 실존인물

 일제의 감시를 피해 전국의 말을 모은 ‘말모이’ 작전의 최초 영화화! 

  

영화 말모이 실화 주시경 실존인물

주시경 선생

 말모이. 이 독특한 제목의 출처는 우리말이 사라질 뻔했던 우리 역사다. 주시경 선생이 한일합병 초기인 1911년에 시작했으나, 중간에 주시경선생의 죽음으로 미완성으로 남은 최초의 국어사전 원고를 일컫는 말로, 사전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또한 영화 속에서 조선어학회가 사전을 만들기 위해 일제의 감시를 피해 전국의 우리말을 모았던 비밀 작전의 이름이기도 하다. 전국의 각급 학교에서 우리말 사용과 교육이 금지되고, ‘국어’시간에는 일본어를 가르치고 배웠던 시대다. 1929년부터 조선어학회에 의해 재개된 사전 편찬 작업이 전국의 사투리를 모아 공청회를 거치는 ‘말모이’의 완수를 마지막 순서로 남겨 놓았던 시기, 점점 더 극악해지는 일제의 감시망을 피해 조선어학회에 심부름하는 사환으로 취직한 까막눈과 회원들을 주축으로 해 ‘말모이’가 펼쳐지는 과정. 전국 각지의 어린 학생들부터 지식인들까지. 나이와 성별, 지식 유무를 떠나 조선인이기에 ‘말모이’에 마음을 모았던 이들의 이야기는 말이 왜 민족의 정신인지, 사전을 만드는 것이 왜 나라를 지키는 일인지 자연스러운 공감으로 이어진다. 

  지금 우리들이 공기나 물처럼 당연하게 쓰고 있는 우리말과 한글. 이름조차 일본식으로 바꿔야 하는 창씨개명까지 이르렀던 일제 통치 기간 동안, 우리말은 과연 누가 어떻게 지켰을까? 영화 <말모이>는 그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말을 모아 조선말 사전을 만들려고 했다는 이유만으로 대거 옥고를 치렀던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역사에 기록된 이들의 ‘우리말 사전 만들기’가 제공한 큰 뼈대 뒤편으로, 영화는 ‘말모이’에 함께 한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로 눈을 돌렸다. 

<택시운전사>의 각본을 통해, 1980년 5월 광주로 우연히 들어가게 된 한 평범한 사람의 시선과 변화를 통해,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을 던졌던 엄유나 감독의 사람 이야기는 <말모이>에서도 강력하다. 평범하다 못해 글도 못 읽는 판수와 고지식할 정도로 사전 만들기에 모든 것을 건 지식인 정환을 주축으로 해 ‘말모이’에 뜻과 마음을 보태는 이들의 이야기는, 역사가 위인들의 것이 아니라 결국 보통 사람들의 작지만 큰 선택들이 씨줄과 날줄처럼 엮여 이뤄지는 것임을 실감 나게 전한다. 사람을 통해 한 시대를 보게 하는 힘을 발휘하는 영화 <말모이>는 탄압과 항일운동이라는 단순한 도식을 넘어, 그 시대의 한가운데서 때로는 울고, 때론 웃으며 열심히 살았던 지금의 우리와 다르지 않은 사람들을 따라간다. 그리고 ‘말모이’에 함께 하는 것으로 큰 용기를 냈던 수많은 사람들(제작진들)이 함께 만들어내는 감동과 공감, 따뜻한 웃음 속으로 관객들을 데려간다. 역사의 기록이 놓쳤을지 모를 사람의 이야기. 그것이 <말모이>다. 

  

영화 말모이 설민석 해설강의



댓글